인용분석은 특정 논문이 인용된 횟수를 측정하여 논문, 저자, 연구기관의 영향력이나 질적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 저자의 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되는 수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측정지표가 있습니다. 현재 h-index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h-index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고 있다.
• h-index
물리학자 Jorge Hirsh가 2005년에 고안한 지표로 Hirsh index라고도 불립니다. 과학자의 영향력과 생산성을 수치화를 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 g-index
Leo Egghe가 제안한 것으로, h-index를 조금 더 발전시킨 개념입니다. g-index는 연구자의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을 중심으로 측정합니다.
Michael Banks가 개발한 것으로, h-index와 유사하지만 저자보다는 복합적인 요소 혹은 주제의 영향을 평가합니다.
• p-index
h-index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activity(전체 피인용수)와 excellence(피인용률)의 관계를 측정합니다.
• rpi (research performance index)
연구기관들의 순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 y-factor
Google PageRank를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인용의 질과 impact factor계산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1) Bibliometrics는 특정 분야 내 저널이나 연구자의 영향력 평가
2) bibliomatrics와 관련하여 여러 데이터베이스나 웹페이지를 통해 저널, 연구자, 논문의 영향력을 어떻게 검색하고 분석
인용색인, 인용분석 등과 관련된 Bibliometrics에 대해 다룬 아티클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The UK’s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2014
• Content Factor: A Measure of a Journal’s Contribution to Knowledge
• Impact of Big-Name Science Journals Declining
• Coercive Citation in Academic Publishing
• Let's Make Science Metrics More Scientific
• Article-Level Metrics and Evolution of Scientific Impact
•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39 Scientific Impact Measures
특정 논문, 저자, 기관의 인용분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Web of Science, Scopus, Google Scholar가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Web of Science | Scopus | Google Scholar | |
주제 | 과학, 기술, 사회과학, 예술&인류학 | 과학, 기술, 의학, 공학, 예술&인류학 | 의학, 과학, 기술, 경영, 사회과학, 예술&인류학 |
구성요소 |
3개의 인용색인으로 구성 |
▪ 생명과학- 4,873개 |
▪ PubMed, IEEE, 미국물리학회, National Academy of Science, Nature.com, 미국의학협회, Ingenta, SpringerLink, Taylor and Francis, Sage Publications, Blackwell-Synergy, OCLC First Search 등 |
범위 | 12,000개 이상의 저널 | 19,500개의 저널 | 알 수 없음 |
기간 |
1900년대부터 |
4440만개 중 |
웹 상에서 가능한 것 모두 |
업데이트 | 매주 | 주 1-2회 | 매달(평균적으로) |
강점 |
▪ 심도있는 backfile (특히 과학저널) ▪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Journal Science Report, impact factor, h-index는 가장 폭넓게 이용됨 ▪ 미국의 연구에 집중 ▪ 시각적 설명을 위해 인용 맵핑 제공 |
▪ 이용자 위주의 인터페이스 ▪ 폭넓은 범위의 저널 ▪ reference목록 다운로드가능 ▪ 국제적으로 커버 가능 ▪ 1,200개 이상의 Open Acccess자료 |
▪ 기존의 인용색인(WoS, Scopus)에 비해 더 종합적인 색인을 제공 ▪ peer-review를 받은 학술출판사, 전문 단체, 사전인쇄본의 논문, 책, 기사, 초록 등을 포함 ▪ 기존의 인용색인에 비해 더 새로운 형식에 자료를 소유 ▪ 국제적, 여러 언어 서비스 제공 |
약점 |
▪ 저자가 제공한 인용의 오류, 저널별로 다른형식의 인용 스타일로 색인의 기능이 다소 부진해져 인용횟수의 측정이 부정확할 수 있음 ▪ backfile의 비싼 비용 |
▪ 색인이 1996년부터이기 때문에 인용의 측정이 상대적으로 제한적 ▪ 사회과학과 예술&인류학 분야에서는 약함 |
▪ 제한적인 검색 기능 ▪ 홍보페이지, 목차페이지, 추천도서 목록과 같은 비학술적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피인용횟수가 과장될 수 있음 ▪ 관련성 없는 것을 제거하는데 시간 소요 ▪ 자료의 정보원이나 기간에 대해 알 수 없음 ▪ 웹에서 가능한 것에만 제한 ▪ 신문기사와 같이 비학술적 인용이 포함 |